본문 바로가기

P2P 파먹기

P2P 주택담보 재테크 팁

요즘 정말 많은 분들이 재테크에 관심이 많으신듯합니다. 

 

아마도.. 은행금리가 최저이기도하고 주식은 도박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기도 하구요 

 

저도 나름대로 이거저거 많이 해봤습니다만, 현재는 부동산p2p 그 중에서도 주택담보(주담)만

 

투자를 하고 있는 중이고 연재로 주담에 대한 나름의(?) 매리트와 분석을 올릴예정입니다. 

 

 

 

그 첫번째로 오늘은 주택담보대출의 가장 기본 시세파악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시세파악의 기본은 답사입니다

 

그런데 ..

 

부산에서 거주를 하시는 분이면 상관없겠지만 

 

서울에 있으신분들은 답사를 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물론, 펀딩사이트에서 감정가를 내놓기는 하지만  한두푼도 아닌데 적어도

 

본인이 생각하는 감정가는 있어야 한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저는 KB부동산 리브온을 이용합니다 

 

 

매물/ 시세로 들어가시고 

 

이렇게 '꼭' 주소로 기입을 합니다

 

아파트 이름으로 나올 수도 있겠지만 만약에 같은 이름의 아파트가 있으면 종종 다른아파트 시세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큰일입니다;;)

 

 

노란색 박스는 투자물건과 같은 평수가 몇세대나 있는지 가볍게 확인해주시고 넘어가시면 되겠습니다.(너무 세대수가 없는 경우는 환가가 조금 더 떨어질수 있기 때문이에요)

 

또한 세대수가 많고 브랜드아파트도 감정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미 아시는분들은 아시겠지만  2번째 사진에서 주소와 면적은 p2p사이트에서 당연하게 제공되고 있습니다. 

 

사진을 보니 이 아파트의 평균가격은 2020. 1. 17. 기준 24500~27200만원정도입니다. 

 

보통 업계에서는 1~2층까지는 하한가를 적용하여 감정가를 사용하고 

3층이상부터는 일반평균가를 기준으로 적용합니다. 

 

이 아파트의 경우 16층이 투자예정이었으니 일반평균가를 적용하면 되지요

 

혹시 몰라 다시 한번! 

 

 

그러므로 이 아파트의 감정가는 26250만원(\262,500,000원)이 되겠습니다. 

 

그럼 P2P업체의 감정가를 볼까요?

 

정확히 일치합니다 ㅎㅎ

 

물론, 물건마다 개별감정이 조금 더 들어가면 변할 수 있지만 KB시세만 볼 줄 아셔도

 

감정의 기본은 하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KB시세와 다른 감정사이트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럼 20,000!

 

 

이 블로그의 자료의 출처는 줌펀드이며, 블로그를 작성하고 수수료를 일체 받지 않은 개인적인 블로그입니다 

'P2P 파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TI DSR 개념과 계산법 알아보기  (0) 2020.03.13